[1. 접근성 이란?]
웹 접근성을 살펴보기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접근성이 무엇인지부터 확인해 봐야 합니다.
접근성은 사용자마다 각자 다른 환경과 상황에서 컨텐츠 를 접하거나, 사용하게 될때를 고려하여,
다양한 환경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정보컨텐츠에 원활히 접근 할수 있도록 선택지를 넓히고 배려하는 방법 입니다.
[2. 웹에서의 접근성]
그렇다면 웹에서의 접근성은 무엇일까? , 법적인 관점에서의 웹 접근성은
"모든사용자가 신체적.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"
여기서 신체적 조건이란 문자 그대로 사람의 신체 즉 장애 여부나 연령을 의미하고
환경적 조건은 사용자가 접근할때 사용할 다양한 디바이스(PC, Mobile, PDA등), OS(윈도우, 리눅스 등), 웹 브라우저(IE, 크롬, 사파리 등) 또는 저사양 및 저회선 사용자 혹은 이미지,동영상 등을 볼 수 없는 환경입니다.
즉 웹 접근성을 보장하는것은 위와같은 상황을 고려하며 사용자들이 얻고자 하는정보에 원활하게 접근할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입니다.
[3. 웹에서의 접근성]
웹은 탄생 목적부터 다양한 플랫폼과 장치에 구애받지 않고 장소와 시간에도 관계없이 빠르고 신속하게 정보컨텐츠를 제공하기위해 만들어 졌습니다.
하지만 현시점에서의 웹 접근성을 살펴보면 정보의 보편적 전달이라는 웹의 기본적이고 중요한 목적을 등한시 하고 노인과, 장애인 등 정보 취약계층이 소외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.
그렇다면 웹 접근성 보장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일까요?
- 장애인,고령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층 확대
- 규정과 법적 요구사항에 대한 준수 가능
- 다양한 환경, 새로운 기기에서의 이용 가능
- 개발 및 운용의 효율성 증진
- 사회 공헌 및 복지 기업으로서의 기업 이미지 향상
[4.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(WCAG)]
웹 표준화 관련 국제기구인 "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" 에서는
웹 접근성에 대해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산하 단체 "WAI(Web Accessibility Initiative)"를 설립하였습니다.
WAI는 웹 접근성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"웹 접근성을 위한 지침" 을 마련하느 것입니다.
인지성(Perceivable)
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그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어야 한다.
- 모든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에 대체 텍스트를 사람들이 원하는 인쇄, 점자, 음성, 기호 또는 간단 언어 등과 같은 형태로 제공해야 한다.
- 시간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에 대한 대안을 제공해야 한다.정보와 구조의 손실 없이 콘텐츠를 다른 방식(예를 들면 더욱 간단한 형태로)들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.
-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보고 들을 수 있는 전경에서 배경을 분리한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.
운용성(Operable)
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와 탐색은 운용 가능해야 한다.
- 키보드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.읽기 및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.
- 알려진 방법으로 발작을 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를 디자인하지 않아야 한다.
- 사용자가 탐색하고, 콘텐츠를 찾고 그들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.
이해성(Understandable)
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
- 텍스트 콘텐츠를 판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.
- 웹 페이지의 탑재와 운용을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제작해야 한다.
-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.
견고성(Robust)
콘텐츠는 보조 기술을 포함한 넓고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존하여 해석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.
- 보조 기술을 포함한 현재 및 미래의 사용자 에이전트의 호환성을 극대화해야 한다.
출처: 웹접근성(Web Accessibility) | 웹접근성과 웹표준 (seulbinim.github.io)
'WEB Devel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표준(Web Standards) 이란? (0) | 2021.10.08 |
---|---|
크로스 브라우징 과 동등성 (0) | 2021.10.07 |